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첨단융합학부
첨단융합학부 신입생들의 전공탐색을 위한 공통필수과목으로서, 차세대지능형반도체, 융합데이터과학, 지속가능기술, 디지털헬스케어, 혁신신약 등 첨단융합학부의 다양한 전공 분야를 소개한다. 각 분야에서 개발되고 있는 첨단융합기술의 핵심 개념과 다양한 응용 분야를 소개하고, 각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는 리더 특강을 통해 학생들이 졸업 후의 미래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환경설계학과
본 과목은 도시설계의 기초적인 이론과 도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소를 이해하는 강의 수업이다. 국내외 도시설계의 간략한 역사와 최근 도시개발의 동향을 살펴본 후, 도시정책과 제도, 공공의 의지와 사회참여, 디벨로퍼의 비전, 도시건축 유형과 개발의 관성, 기능적 효율성과 미학, 다양성에 대한 요구 등 현대 도시의 형태를 결정하는 여러 힘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현대 도시에 대한 다양한 요구, 이를테면 도시쇠퇴와 재생, 건강도시 만들기, 도시의 취약성 극복 등의 주제에 대해 강의와 워크샵을 통해 고찰한다.
loading...
환경대학원 환경설계학과 / 대학원
2024-2학기
권장 선수과목 환경계획·설계(940.501) , 생물다양성과 환경계획(M3551.000500)
본 과목은 도시설계의 기초적인 이론과 도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소를 이해하는 강의 수업이다. 국내외 도시설계의 간략한 역사와 최근 도시개발의 동향을 살펴본 후, 도시정책과 제도, 공공의 의지와 사회참여, 디벨로퍼의 비전, 도시건축 유형과 개발의 관성, 기능적 효율성과 미학, 다양성에 대한 요구 등 현대 도시의 형태를 결정하는 여러 힘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현대 도시에 대한 다양한 요구, 이를테면 도시쇠퇴와 재생, 건강도시 만들기, 도시의 취약성 극복 등의 주제에 대해 강의와 워크샵을 통해 고찰한다.
Architecture in context : fitting new buildings with old
Architecture in context : fitting new buildings with old
Public places-urban spaces : the dimensions of urban design
Public places-urban spaces : the dimensions of urban design
Building democracy : community architecture in the inner cities
Building democracy : community architecture in the inner citiesLand use planning made plain
Land use planning made plain
Planetizen guide to graduate urban planning programs
Planetizen guide to graduate urban planning programs
Sustainability awareness and green information technologies
Sustainability awareness and green information technologiesThe Nature of landscape design : as an art form, a craft, a social necessity
The Nature of landscape design : as an art form, a craft, a social necessity
Putting Tradition into Practice: Heritage, Place and Design : Proceedings of 5th INTBAU International Annual Event
Putting Tradition into Practice: Heritage, Place and Design : Proceedings of 5th INTBAU International Annual Event
분권형 도시계획체계구축을 위한 법제개선방안 연구 =
분권형 도시계획체계구축을 위한 법제개선방안 연구 =
Dominion of the eye : urbanism, art, and power in early modern Florence
Dominion of the eye : urbanism, art, and power in early modern Florence
(국역) 경성도시계획조사서
(국역) 경성도시계획조사서
Imminent commons live from Seoul : 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2017
Imminent commons live from Seoul : 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2017
Landscape design
Landscape design
Touchstones of design : (re)defining public architecture
Touchstones of design : (re)defining public architecture
Site engineering for landscape architects
Site engineering for landscape architects
Urban design : green dimensions
Urban design : green dimensions
American urban architecture : catalysts in the design of cities
American urban architecture : catalysts in the design of cities
Treatise on architecture : being the treatise by Antonio di Piero Averlino, known as Filarete
Treatise on architecture : being the treatise by Antonio di Piero Averlino, known as Filarete
The garden book
The garden book
The Compact city : a sustainable urban form?
The Compact city : a sustainable urban form?KIEAE Journal
최재원CoDesign
Esra Kut Görgün; İlgi Atay KayaSustainability Science
Schrage J.,Barraclough A.D.,Wilkerson B.,Cusens J.,Fuller J.Urban Ecosystems
Narandžić T.,Ljubojević M.Heritage
Brusaporci S.,Maiezza P.Science China Technological Sciences
Wang S.S.,Zhao Z.L.,Xu Y.Q.,Li X.L.Architectural Research Quarterly
Mohamed Gamal AbdelmonemThe Journal of Architecture
Lerma, Carlos; Borràs, Júlia G.; Vercher, Jose; Mas, Ángeles; Gil, EnriqueSUSTAINABILITY
Yan, Hang; Liu, ZhijiangArchitectural Engineering and Design Management
Marcin Goncikowski대한건축학회논문집
서보경, 이진욱, 하재명Sustainability
Lee, Il; Hwang, Soe WonLandscape and Urban Planning
Shach-Pinsly D.江西科技师范大学学报 / Journal of Jiangxi Science & Technology Normal University
高维全; 王玉霞; 刘国巍; Gao Weiquan; Wang Yuxia; Liu GuoweiCities
Leach J.M.,Mulhall R.A.,Rogers C.D.F.,Bryson J.R.Studies in Conservation
Soleymani S.,Russ L.黑龙江工业学院学报(综合版) / Journal of HeilongJiang University of Technology(Comprehensive Edition)
干申启; 杨金奎; 潘硕; 周天著; 程家辉; Gan Shenqi; Yang Jinkui; Pan Shuo; Zhou Tianzhu; Cheng JiahuiDIGEST OF MIDDLE EAST STUDIES
Rizzo, Agatino; Petruccioli, AttilioSmart Cities
Alverti M.N.,Themistocleous K.,Kyriakidis P.C.,Hadjimitsis D.G.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본 과목은 도시설계의 기초적인 이론과 도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소를 이해하는 강의 수업이다. 국내외 도시설계의 간략한 역사와 최근 도시개발의 동향을 살펴본 후, 도시정책과 제도, 공공의 의지와 사회참여, 디벨로퍼의 비전, 도시건축 유형과 개발의 관성, 기능적 효율성과 미학, 다양성에 대한 요구 등 현대 도시의 형태를 결정하는 여러 힘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현대 도시에 대한 다양한 요구, 이를테면 도시쇠퇴와 재생, 건강도시 만들기, 도시의 취약성 극복 등의 주제에 대해 강의와 워크샵을 통해 고찰한다.전선 / 대학원
도시설계는 도시를 만드는 과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다. 본 과목은 도시가 생태계뿐만 아니라 경제, 대중교통, 기술, 역사, 문화 및 지역사회의 건강과 복지와 같은 사회의 다양한 부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도시의 영향력은 도시설계에 주거, 사무, 여가 공간을 재창조하는 데 원동력이 되어 왔다. 도시디자인 실무 세미나는 세계 도시 디자인의 현대 이론을 배우고 다양한 프로젝트를 알아보는 세미나이다. 세미나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반부는 도시디자인의 현대 이론에 관한 토론으로 시작되며 국내외 다양한 전문가를 초대하여 그들이 진행하고 있는 도시 관련 프로젝트와 아이디어에 관해 토론한다. 후반부에는 여러 국가의 다양한 도시의 기원과 구도시와 신도시의 비교연구를 통해 도시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중요성과 변화를 연구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도시 구성 및 환경에 대한 도시디자인 이론을 배움과 동시에 실무에서 쓰이는 도시 디자인 프로세스를 습득한다.전선 / 대학원
도시설계론 과목은 도시설계학 석사 과정 학생들이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핵심적인 과목이다. 본 과목은 한국 및 외국에서 행해진 도시설계 실무 사례를 연구하고, 도시설계의 근본적인 이슈들과 이론들을 탐구함으로써 도시설계 이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는다. 또한, 이 과목을 통해서 학생들은 도시설계란 무엇이며, 도시설계의 컨셉들은 어떤 것이 있으며, 향후 자신들이 도시설계가로서 행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게 된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에서는 첫째로, 우리나라와 외국 도시의 도시환경의 역사적 변천과정에서 도시환경의 여러 가지 변화를 고찰해 보면서 이러한 도시환경 변화 속에 내재되어 있는 문화와 사상들을 파악해 보고, 둘째로, 이러한 도시환경 변화과정 속에서 발생했던 도시계획, 건축, 조경, 도시설계 사례에서 나타난 계획가와 설계가의 설계철학, 설계안목, 설계가치, 설계방법론 등을 함께 연구해 본다.전선 / 대학원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해서 장기적이며, 통합적인 접근은 필수적이다. 도시는 자연환경뿐만 아니라 건물, 인프라 등과 같은 인공환경을 포함하고 있는 대표적인 복잡계(complex system)로서, 도시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상호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으며, 이들은 다른 요소 또는 관계에 다시 영향을 미치며 도시현상을 복잡하게 만든다. 특히 도시의 다양한 부문(인프라 및 건조환경, 자연환경, 사회경제 부문 등) 및 요소 간 관계 의존성은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스마트시티의 확산으로 인해 더욱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해서는 부문 및 요소 간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이를 통합하고 조정할 수 있는 시스템적 사고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강의는 시간적, 통합적, 피드백 사고를 근간으로 하는 시스템적 사고 배양과 도시 계획 및 정책에서 이를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복잡계 이론, 다양한 도시 시스템의 이해,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론 및 네트워크 분석 등을 학습하고, 이를 실제 도시 공간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활용 역량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은 도시의 환경적, 문화적 이해를 바탕으로 , 정원도시 기획과 디자인의 연습을 수행해 보고자 한다. 전통적인 정원의 개념에서 확장된 참여와 가꿈의 가치를 도시디자인과 접목하는 방식을 모색한다.전선 / 대학원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글로벌 경제위기와 사회변화는 도시공간을 기획·조성·운영하는 방식의 혁신을 요구하고 있다. 중심지와 주변부를 나누고 여러 도시기능을 분리하는 전통적 도시관리에서 직주락(Live-Work-Play)의 복합화, 비대면 문화·유연근무의 도입, 공유공간과 로컬 구독경제의 화학적 결합 등이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새로운 도시공간 만들기와 운영방식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수업은 이렇게 나타난 공간을 ‘뉴노멀 도시공간’으로 정의하고, 해당 공간의 특징과 유형, 운영 주체, 관리방식, 관련 제도변화와 그 시사점을 다루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에게 도시의 미래를 기획하고 상상할 수 있는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관련 주체 인터뷰와 현장 답사를 통해 도시에 대한 실천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이 강좌는 정치생태학에 대한 이해와 정치생태학 내 다양한 생태담론의 지형에 대한 파악을 기초로 환경문제의 해결을 위한 이론적 지평을 여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강좌에서는 기본적으로 “환경문제 발생의 근본 원인은 무엇인가? 자연 혹은 자연자원의 이용에 대해 누가 권력을 행사하고 있는가? 다양한 정책과 이해관계자들의 상호작용은 자연의 변형과 이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환경의 보전과 개발을 둘러싼 갈등은 어떻게 발생하며 또 어떻게 해소되어야 하는가? 사회정의는 지속가능성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사회는 어떻게 변화되어야 하는가?” 등의 질문을 제기한다. 정치생태학은 사회와 자연이 어떠한 관계를 맺어 왔는지를 이해하고 자원이용의 환경적 결과와 사회의 역동적인 관계와 환경적으로 매개된 다양한 사회집단들 내/간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해 환경과학과 사회과학을 통합하는 학제간 시도로, 정치생태학 안에서도 다양한 담론들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이 강좌에서는 정치생태학적 접근에 기초하여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모양 짓는 다양하고 복잡하게 상호 연계된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권력관계를 살펴보고 환경문제의 발생과 해결에 서로 다른 진단과 처방을 제시하는 다양한 생태담론들을 학습함으로써 지역적 차원에서 지구적 차원에 이르는 다양한 환경문제의 발생 기제를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강좌의 전반부는 정치생태학 및 생태담론에 대한 소개와 이해를 중심으로, 후전선 / 학사
디자인?공예학습과 디자인?공예교재의 관계를 학교디자인?공예교육 현장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디자인?공예교육을 위한 아이디어개발, 학습조직, 학습활동, 학습평가의 자료와 방법을 비교분석하며, 디지털매체가 디자인?공예교육의 실천과 확대에 미치는 영향을 토론한다.전선 / 대학원
경관은 도시와 농촌의 지질, 토양, 수계, 식생, 야생동물과 토지이용의 시스템이다. 우리는 경관을 요소별로 나누어 이해할 수도 있고. 시공간에서 구조를 지니는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상호관계의 측면에서도 연구할 수 있다. 경관은 생태계의 시스템으로 기능한다. 식생과 토양이나 물과 도시경관 사이에 관련성이 있기에 일관성을 인식하는 것은 공간을 인식하게 한다. 경관이 읽기 쉬울 때, 그것은 개인과 커뮤니티의 지속가능성에 기여한다. 그러므로 경관의 시스템적인 분석은 자연 생태 계획이나 사회적, 문화적, 심리적 건강성 향상을 계획할 때 필수적이다. 강의는 매주 진행되고 경관 체계 분석에 관한 주제를 연구하고 토론한다. 토론에 참여하기 위해서, 학생들은 정해진 주제에 관한 발표를 정기적으로 준비해야 한다.전선 / 대학원
단지설계는 고급 수준의 정원설계라는 의미로서 이해하기보다는 하나의 단지수준에서 조경설계 기술이 원용될 수 있는 공간과 장소 적인 범위의 토지에 대한 설계기예를 학습하고자 하는 것이 그 목표이다. 따라서 전통적인 정원설계의 범위를 넘어서, 특정주제를 표방하는 상징공간이나 기념공간, 그리고 새로운 사회적 수요에 대응하는 새로운 형태의 조경공간의 창출을 염두에 두고, 그러한 공간의 설계에 관한 지식과 기술, 그리고 예술적 수준의 향상이라는 데에 과목의 일차적인 관심이 있는 것이다.전필 / 학사
이 강의는 역사적 맥락에서 공예를 이해하고 공예의 재료와 기법을 다양한 각도로 탐색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그리고 여러 장르의 공예작품을 소개하고 점토와 금속이라는 매체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한다. 이를 통해 기초적인 공예재료와 제작기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앞으로 공예를 전공하려는 학생들에게 기초적인 지식과 전망을 제공한다전선 / 대학원
우리나라는 2007년 경관법을 제정하였고, 그에 따라 많은 지자체가 경관계획을 수립, 시행하고 있다. 이 교과목은 도시설계 전공 학생들이 알아야하는 우리나라 경관법령, 경관보전이나 경관 조성 관련 외국법제, 경관계획과 설계 국내외 사례를 숙지하고, 대상지를 선정하여 경관 계획과 설계를 실습함으로써, 사회적으로 수요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관계획과 설계 실무 전문성을 갖추도록 교육, 훈련하고자한다. 미국 Scenic America나 영국 CPRE (Campaign to Protect Rural England)같은 전문가/시민 단체가 경관보전과 개선을 위해 수행하는 활동도 학습하여 우리나라에서 “행동하는 경관 전문가”를 육성하는 교육목표도 포함한다.전선 / 대학원
건조환경 내의 각 공간의 상관관계를 정략적으로 분석하여 그 공간배치 패턴에 내재하는 사회, 문화적 구조를 파악하는 방법을 다룬다. 여기 쓰여지는 분석모델로는 Visual Access and Exposure Model 및 Spaces Syntax Model이 있다. 이 공간분석학의 응용분야로는 주거문화사 건축사회학 등을 들 수 있으며 또한 범죄예방, 방재계획의 모듈로서 응용되기도 하며, 상업건축설계, 도시설계, 조경설계 등의 설계 실무에도 응용될 수 있다.전선 / 학사
졸업전시를 위한 미디어디자인 스튜디오 실습과목으로, 미디어디자인프로젝트1에서 진행했던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그룹 크리틱과 개인지도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또한 졸업전시와 관련하여 전시준비, 홍보, 설치, 운영 까지의 과정이 수업내용에 포함된다. 각자가 관심있는 분야를 연구하고 학기말에 졸업전시를 통해 발표한다.전필 / 학사
거주와 집합. 건축설계를 위한 프로그램을 공간적으로 해석하고, 그 시설을 이용하거나 사는 사람들의 이미지를 도출하여 설계하는 방식을 연습한다. 이를 위해 도심에 있는데도 실제로는 살기에 적합하지 못한 창고로 둘러싸인 공업지대의 대지와 같이, 대지주변의 물리적이며 심리적인 관계를 해석한다. 또한 그 장소에 사는 사람들의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상정하며, 사람들이 모여사는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여, 프로그램의 해석에서 공간으로 이전하는 과정과, 대지가 지니고 있는 문맥을 갱신하는 논리를 연습한다. 후반부에는 도시를 구성하는 가구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에 대하여 '한옥'과 그 주변을 둘러싼 근현대 주거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적 도시주거공간을 탐구하고, 나아가 근미래의 한국형 도시주거형식을 연구한다.